<Action 태그>
jsp 페이지 내에서 어떤 동작을 하도록 지시하는 태그이다.
1. forward
현재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전환할 때 사용되는 태그이다.
main.jsp
1 2 | <h1> main 페이지입니당 </h1> <jsp:forward page = "sub.jsp/> | cs |
sub.jsp
1 | <h1>sub 페이지 입니당</h1> | cs |
특징은, url 코드는 그대로 main.jsp 이지만, 나타내는 페이지는 sub.jsp 페이지라는 점이다.
2. include
현재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를 포함 시키고 싶을 때 사용되는 태그이다.
main.jsp
1 2 3 | <h1>여긴 main.jsp </h1> <jsp:include page="include.jsp" flush="true"/> <h1>다시 main.jsp</h1> | cs |
해당 코드의 flush 속성은 true로 지정할 시 포함될 페이지로 이동할 때 현재 페이지가 지금까지 버퍼에 저장한 내용을 웹브라우저에 출력하고 버퍼를 비운다고 한다. flush 라는 이름은 자바 코드에서도 많이 봤다. 비운다는 말 뜻은 알겠는데 음...인터넷 여러가지 글들을 찾아보니, 되도록 false 로 하는게 좋다는데 이 부분은 더 알아봐야 할 것 같다!
include.jsp
1 | <h1>여긴 include 페이지! </h1> | cs |
forward 태그와는 다르게, include 페이지로 갔다가 다시 main 페이지로 돌아온다는 차이점이 있다.
3. param
forward 와 include 태그에 데이터 전달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태그이다. name, value 값으로 이루어져있다.
main.jsp
1 2 3 4 | <jsp:forward page="forward_param.jsp"> <jsp:param name="id" value="abcdef"/> <jsp:param name="pw" value="1234"/> </jsp:forward> | cs |
forward_param.jsp
1 2 3 4 5 6 7 8 9 10 11 | <%! String id,pw; %> <% id = request.getParameter("id"); pw = request.getParameter("pw"); %> id = <%= id %> pw = <%= pw %> | cs |
main.jsp 에서 보낸 id,pw 값이 forward_param.jsp 페이지로 넘어간다.
영상 출처 : https://youtu.be/GsmqSd9BFLY
'JSP >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p/DB] mysql 과 jsp 연동하기 (0) | 2017.01.17 |
---|---|
[jsp] 자바 빈 (0) | 2017.01.10 |
[jsp] 예외 페이지 (0) | 2017.01.10 |
[jsp] 세션 (1) | 2017.01.10 |
[jsp] 쿠키 (0) | 2017.01.1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