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JSP/정리

[jsp] 자바 빈

by 미네밍 2017. 1. 10.

<자바 빈>


반복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 



이란, JAVA 언어의 데이터(속성) 과 기능(메소드) 로 이뤄진 클래스다.


빈을 만든다는 것은 데이터 객체를 만들기 위한 클래스를 만드는 것이다.


jsp 페이지를 만들고 빈과 관련된 액션태그를 이용해 사용하면 된다. 

빈과 관련된 액션태그에는 useBean, setProperty, getProperty 가 있다.


1. useBean 


특정 Bean 을 사용한다고 명시할 때 사용한다.


1
<jsp:useBean id="student" class="com.javalec.jsptest.Student" scope="page"></jsp:useBean>
cs


class 안에 들어있는 내용은, JSP 프로젝트 내에 자바 소스를 추가할 수 있는데, 그 경로를 그대로 써 준 것이다.


id 값은 빈의 고유 id이다.


scope 는 빈이 사용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것인데,


page : 생성된 페이지 내

request : 요청된 페이지 내

session : 웹 브라우저의 생명주기와 동일하게 사용

application : 웹 어플리케이션 생명주기와 동일


다음과 같다.


결국, 자바 프로그래밍 할 때 객체 생성하고 값 넣고 불러오는 것과 비슷하게 빈을 사용하는 것이다.


2. setProperty


1
<jsp:setProperty name="student" property="name" value="미네"/>
cs


student 라는 빈의 속성인 name 에 값을 설정해 준 코드이다. 객체에 값을 할당하는 것과 비슷하다.


3. getProperty


1
<jsp:getProperty name="student" property="name"/>
cs


다음도 student 라는 객체의 name 값을 가져오는 구문이다. 

위 내용들을 적용시켜서


1
2
<jsp:setProperty name="student" property="name" value="미네"></jsp:setProperty>
이름 : <jsp:getProperty name="student" property="name"></jsp:getProperty>
cs


다음과 같은 코드를 실행했을 때,




이러한 결과가 나오게 된다.


영상 출처 - https://youtu.be/aoolZnzoKP8?list=PLYBmkgNU_x7Zj0nCzt5D0qV33C_rU1NK2

'JSP >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sp] 커넥션 풀  (0) 2017.01.17
[jsp/DB] mysql 과 jsp 연동하기  (0) 2017.01.17
[jsp] 예외 페이지  (0) 2017.01.10
[jsp] 세션  (1) 2017.01.10
[jsp] 쿠키  (0) 2017.01.10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