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시금 스프링을 처음 배웠을 때의 기억을 되살리려 Spring 프로젝트를 혼자 구축해보고, 평소 일 할 때는 직접 구현을 잘 하지 않는 이런저런 기능들을 구현해보기로 했음.
최근 업무를 하며 대용량 엑셀 다운로드 기능을 구현할 일이 있었는데, 속도가 나지 않아 직접 다운로드 로직을 구현함.
이 경험을 계기삼아서 오늘부터 책도 읽으면서 간단한 실습을 조금씩 해보고자 함.
기존에 깔아놓은 톰캣을 추가했는데, 뭔가 파일이 꼬였는지 제대로 config 파일을 불러오지 않아, 재설치를 하였음.
프로젝트를 하나 추가하고, 서버를 시작한 후 생각없이
http://localhost:8080/
를 쳤는데 404 에러가 떠, tomcat 서버의 module 탭에 내가 추가해준 프로젝트의 경로를 '/' 로 수정.
home.jsp 파일을 띄우는 데 성공하였으나,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해 인코딩 설정을 함.
1. Server.xml
<Connector connectionTimeout="20000" port="8080" protocol="HTTP/1.1" redirectPort="8443"
URIEncoding="UTF-8"/>
2. JSP
<%@ pagepageEncoding="UTF-8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%>
위는 GET방식의 요청을 할 때 인코딩을 설정해주는 것이고, POST시에 깨지지 않게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따로 설정이 더 필요.
'공부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펙티브 자바 4장 규칙14. public 클래스 안에는 public 필드를 두지 말고 접근자 메서드를 사용하라 (0) | 2021.03.14 |
---|---|
이펙티브 자바 4장 규칙13. 클래스와 멤버의 접근권한은 최소화하라 (0) | 2021.03.14 |
이펙티브 자바 3장 규칙 12. Comparable 구현을 고려하라 (0) | 2021.02.17 |
이펙티브 자바 3장 규칙 11. clone을 재정의할 때는 신중하라 (0) | 2021.02.17 |
이펙티브 자바 3장 규칙 10. toString은 항상 재정의하라 (0) | 2021.02.17 |
댓글